mobile background

클리닉소개

어지럼증

Dizziness


어지럼증 이란?


어지럼증은 10명 중 2명에서 발생할 수 있는 매우 흔한 증상이므로 대수롭지 않게 여기는 경우도 많으나 귀의 평형 감각의 이상으로 인한 말초성 어지럼증은 적절한 약물치료나 정복술로 치료가 되지만 뇌졸중이나 뇌의 이상으로 유발되는 중추성 어지럼증은 진단 및 치료가 늦을 경우 후유증을 남길 수 있으므로 정확한 원인규명을 통한 진단과 신속한 치료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어지럼증의 분류


전정계 어지러움

  • 중추성 어지럼: 뇌줄기나 소뇌의 뇌졸중, 뇌종양, 소뇌위축증 등의 퇴행성 질환, 편두통
  • 말초성 어지럼: 양성 돌발성 체위현훈(이석증), 전정 신경염, 메니에르병


비전정계 어지러움

  • 기립성 저혈압
  • 기립 빈맥
  • 심인성 어지럼
  • 약제에 의한 어지럼

어지럼증의 양상


현훈(빙글빙글 도는 증상)

전정신경계에 문제가 생기면 빙글빙글 돌거나, 위아래 뒤집어지는 듯한 어지럼증이 생깁니다. 이러한 경우 뇌질환 여부가 제일 중요합니다. 세심한 진찰 및 검사를 통해 뇌질환 가능성을 확인합니다. 정밀검사를 통해서도 진단되지 않는 어지럼증의 경우 편두통성 어지럼증인 경우가 많아서 이에 대한 고려도 꼭 필요합니다.


균형장애(비틀비틀 거리는 증상)

술취한 것 처럼 걸을 때 비틀거리거나 흔들거리는 어지럼증입니다. 가만히 있을 때는 괜찮고 걸을 때만 어지러운 것이 특징입니다. 뇌경색, 뇌종양이 원인인 경우가 있어서, 꼭 신경과 전문의의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현기증(어질어질한 증상)

주로 혈압이 떨어지거나, 탈수로 인하여 생깁니다. 주로 일어날 때 생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심한 경우 실신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뇌혈관 질환이나, 심장 질환이나 특정 약제의한 부작용에 의해서 유발되는 경우입니다.


심인성(심리적) 어지럼증

신경계 문제가 없이 생기는 어지럼증입니다. 심리적으로 불안하거나, 과거 심한 어지럼증을 겪은 후유증으로 유발되거나 공황발작인 경우, 가슴 두근거림, 손발 저림, 공포감 등과 함께 어지럼증이 유발되기도 합니다.

어지럼증의 진단 및 치료


진단방법: 비디오 안진 검사, 전정근 유발전위검사, 청각유발전위 검사, 청력검사, 이명검사, 뇌혈류 초음파, 경동맥 초음파, 자율신경검사, 기립혈압검사, 심리검사(불안, 우울)

 MRI/MRA가 필요한 환자의 경우 협력병원 의뢰

Tel. 052-260-0300 | E-mail. shchoi635@naver.com
울산 남구 삼산로 273 삼산타워 9층 ㅣ 사업자등록번호 834-96-00712